『독일연구 - 역사.사회.문화』 원고작성요령 |
I. 일반 |
1. 모든 원고는 국제화 시대에 맞추어 한글, 독어, 영어로 작성 할 수 있으며 논문초록에는 본문 언어 이외 언어로 작성하여 첨부한다. |
2. 고유명사 및 역사용어는 처음 나올 때에만 ()안에 원어를 병기한다. |
3. 원고는 한글과 컴퓨터사의 한글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(어떤 판을 사용해도 무방)으로 작성한다. 이때 본문은 A4 용지를 기준으로 줄간격 160%, 신명조체, 글자크기 10, 양쪽혼합정렬 원칙을, 각주는 줄간격 140%, 신명조체, 글자크기 9, 양쪽혼합정렬 원칙을 각각 준수한다. |
4. 논문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매수로 환산하여 150매를 원칙으로 한다. 이를 초과할 경우 추가 비용은 투고자 본인이 부담한다. 서평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50매 이내로 제한한다. |
5. 논문초록을 작성할 때, 국문초록에는 한글주제어 5개, 외국어초록에는 Key-Words 5개를 함께 제시한다. 각 언어별 초록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매수로 환산하여 5매 내외로 한다. |
II. 기호의 사용 |
1. “ ”는 인용문에, ‘ ’는 강조 또는 재인용의 경우 사용한다. |
예) 그는 “ 인내야말로 패자에게는 가장 벼린 무기”라고 단언했다. 예) 전쟁의 체험은 ‘참전세대’에게 폭력과 투쟁의 ‘내적 체험’을 일상화시켰다. |
2. 처음 나오는 책, 신문, 잡지명은 『』.논문 및 기사제목은 「 」로 표기한다. |
예) 에드워드 사이드, 『오리엔탈리즘』; 프리드리히 마이네케, 『세계시민주의와 민족국가』 예) 이민호, 「유럽통합과 독일」, 『독일연구』, 제1호 |
3. 동일 사항을 나열할 때에는 .를 사용한다. |
예) 『독일연구 - 역사.사회.문화』 |
4. 인용문 내에서의 강조는 진한 글씨를 사용한다. |
예) “우리의 자유주의적 요구 배후에 근본적인 신념으로 여전히 남아 있던 것은 말할 필요 없이 인간성에 대한 경외였다." |
III. 각주 |
1. 동양어 서적의 경우 책, 신문, 잡지명은 『』, 논문 및 기사제목은 「 」로 표기한다. |
예) 허균, 『홍길동전』 예) 이상신, 「부르크하르트의 문화사의 과제」, 『서양사론』 |
2. 서양어 서적의 경우 책, 신문, 잡지명은 이탤릭체, 논문 및 기사제목은 “ ”로 표기한다. |
예) David Welch, Propaganda and the German Cinema 1933-1945(Oxford, 1985). 예) Reinhart Koselleck, “Volk, Nation,” O. Brunner, W. Conze, R. Koselleck, ed., Geschichtliche Grundbegriffe, Bd. 7 (Stuttgart, 1992), pp. 141-431. |
3. 인용서적이 편서일 경우 우리말 서적은 편, 서양어 서적은 ed.로 통일한다. |
예) 곽차섭 편, 『미시사란 무엇인가』 (푸른역사, 2000). |
예) Wolfgang J. Mommsen, ed., Kultur und Krieg: Die Rolle der Intellektuellen, Kunstler und Schriftsteller im, Ersten Weltkrieg (München, 1996). |
4. 인용서적이 단행본일 경우에는 이름 성, 책명(이탤릭체) (출판지, 연도), 정기간행물일 경우에는 이름 성, “논문제목”, 잡지명(이탤릭체), 권수, 호수 (연 월도), 페이지로 한다. |
예) Hannah Arendt,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(New York, 1951). |
예) Erich Ollenhauer, “Der Gedanke von Weimar,” Arbeiter-Jugend, Vol. 12, No. 15 (Aug. 1920), 99.160-162. |
5. 페이지 표시는 한글, 영어, 독일어를 불문하고 p.와 pp.로 표기한다. 이때 숫자는 생략하지 않는다. |
예) Hannah Arendt,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(New York, 1951). |
6. 바로 앞의 문헌을 인용할 때에는 ‘같은 책’ 또는 ‘같은 논문’으로 표기한다. 두 번째 인용부터는 op. cit., 위의 책 등의 표기를 없애고 대신 저자와 책(논문)의 약자를 쓴다. |
예) Wellhausen, Das arabische Reich; Meinecke, “Die deustche Freiheit” |
7. 번역서의 경우 원저자와 책명을 밝힌 뒤 역자, 역서 (출판사항)의 순서로 표기한다. |
예) Mary Fulbrook, A Concise History of Germany, 김학이 역, 『분열과 통일의 독일사』 (개마고원, 2000) |